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언어심리학/언어 처리과정

by Eggmoneyna 2022. 5. 10.
반응형

언어심리학은 언어의 처리과정에 관심을 갖는다. 언어의 심리적 처리과정은 언어의 수준에 따라 구별되고 말소리, 단어, 문장의 언어처리과정이 있다.

 

말소리 처리과정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다른 소리보다도 언어를 구성하는 말소리에 특히 민감하다. 태어나서 10일도 안 된 신생아가 성인 언어가 허용하는 범위의 소리 주파수에 특히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말소리가 끊어질 때마다 입 주변의 근육을 움직이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말소리에 맞추어 근육을 움직이는 현상이 자기 모국어에만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국어를 전혀 들어보지 못했던 영어권의 신생아에게 중국어를 들려주었을 때도 이와 같은 근육 움직임을 보였고, 녹음기를 통해서 들리는 말소리에도 마찬가지의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말소리가 아닌 소리, 리듬을 맞추어 두드리는 소리에는 이 같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증거들은 인간이 말소리와 다른 소리를 구별하여 지각하는 능력을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이마스는 1개월에서 4개월 사이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습관화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영아들이 (ba) 소리와 (pa) 소리의 차이를 지각하는지를 살펴보면서 태어난 지 얼마 안 된 신생아들이 가지고 있는 말소리에 대한 능력을 보다 정교한 말소리 처리과정을 통해서 찾아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영아에게 젖꼭지를 물려주고 젖꼭지를 빨 때마다 (ba) 소리를 들려주었다. 그러면 영아들으 자신이 젖꼭지를 빨면 (ba)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을 아아채게되어 이러한 발성 소리를 듣는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더 빨리 젖꼭지를 빨게 된다. 그러나 얼마간 같은 소리를 계속 들려주면 아기들은 (ba)라는 자극이 더이상 흥미롭지 않게 되어 습관화되면 (ba)라는 자극은 더이상 새로운 자극이 되지 못하는 것이다. 자극이 습관화되면 영아들의 젖꼭지 빠는 속도도 점차 감소된다. 빠는 속도가 충분히 감소되었을 때 실험자는 (ba)소리를 (pa)로 바꾼다. 이때 영아들은 젖꼭지를 다시 빨리 빨기 시작한다. 이러한 결과는 영아들도 (ba)와 (pa) 소리를 구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면서 영아들도 말소리를 범주적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아이마스는 이러한 소리의 범주적 지각이 학습에 의한 결과라기보다 선천적인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아이버슨과 쿨은 r과 l로 시작하는 음절을 미국 성인과 일본 성인에게 제시하고 이 두 음절 간의 유사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미국인들은 r과 l을 별도의 집단으로 묶어서 지각하는 반면 일본인들은 그렇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말소리 지각에 대한 경험의 영향을 시사해 준다. 그렇다면 일본 성인들이 태어날 때부터 r과 l을 구별 못하는 것인지 아니면 태어날 때는 구별 능력을 갖고 있었지만 오랜 시간 동안 그러한 자극을 접하지 못해서 나타난 결과인지를 질문할 수 있다. 일부 실험자는 아이마스의 실험 절차와 비슷한 방법으로 일본 영아들이 (ra)와 (la)를 구별하는지를 실험했는데, 소리가 (la)에서 (ra)로 바뀔 때 일본 영아가 젖꼭지를 더 빠르게 빨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 영아가 자기 모국어에 없는 음소까지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말소리 습득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다양한 음소를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은 학습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미 갖고 태어난 변별 능력이 언어 경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해준다. 인간은 태어날 때는 인간 언어가 허락하는 모든 소리를 구별해 낼 수 있으나 특정 언어 환경에서 자라면서 자기 모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소리의 구분을 무시하게 되어 그 변별 능력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단어 처리과정

단어는 의미를 전달하는 최소 단위이기에 언어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된다. 단어 처리과정에는 단어 재인, 어휘 접속, 어휘 해석 등이 포함된다. 단어 재인은 단어의 음운 정보, 형태 정보, 통사 정보, 의미 정보 등을 이용하여 그 단어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어휘 접속은 그 단어와 관련된 의미 정보를 활성화하는 과정이다. 어휘 해석은 단어가 맥락에 따라 해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과정을 요약하면 하나의 단어를 처리하기 위해 단어를 확인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이 맥락과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다. 

단어 처리를 위해 심성 어휘집에서 정보를 찾는다. 심성 어휘집은 마음속에 있는 사전으로서 단어에 대한 의미, 품사, 발음, 철자법 등의 정보를 저장해 놓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단어를 보거나 듣게 되면 심성 어휘집을 뒤져서 그 단어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시킨다. 단어에 대한 정보를 활성화할 때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섯 가지가 있다. 첫째로 발생빈도가 정보 활성화에 영향을 준다. 발생빈도가 높은 단어는 낮은 단어보다 더 쉽게 인식되고 어휘 판단에서도 더 빠르다. 둘째, 어휘 유사성이다. 우리는 흔히 옆에 비슷한 음소가 있는 단어들을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소리의 유사성 때문에 나타난다. 셋쨰,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항목들의 처리가 촉진되는 의미점화 현상이 있다.  두개의 단어를 주고 단어인지를 판단하게 했을 때 두단어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면 어휘판단 시간이 단축된다. 네 번째, 어휘가 반복되면 활성화가 빨라진다. 다섯째, 맥락 효과가 있다. 이는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단어가 의미 있는 문장을 구성하면 쉽게 인식하지만 단어가 무의미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통사 처리과정

단어가 연결된 것이 문장인데 언어의 이해는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기초가 된다.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별 단어의 의미, 개별 단어의 통사적 범주 정보, 의사소통적 상황, 문장의 복잡성 등 다양한 지식과 과정이 필요하다. 통사 처리과정은 단어가 결합되는 구조적 관계를 계산하는 과정으로 정확한 의미 파악을 위해 필수적이다. 어떤 단어가 명사이고 동사인지 통사적 정보가 각 단어들의 위계적 구조를 형성하게 해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통사 처리과정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은 채 진행되는 자율적이고 자동적인 과정이다. 

통사 처리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통사적 다의성을 가지는 문장을 분석하는 것이다. 문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미를 가질 때 그 문장을 다의적이라고 하고 가장 적은 인지적 부담을 가지고 해소하는가가 심리적인 주요 사안이 된다.  인지적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통사적 책략 중 최소 부착이 있다. 최소 부착은 문장에서 새로 나오는 단어를 구절 구조에서 가장 적은 마디를 만들어 내는 방식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또 다른 책략은 늦은 종결이다. 늦은 종결은 새로 입력되는 단어나 구절을 현재 처리 중인 구절이나 절에 부착하는 책략으로 현재 처리하고 있는 구절이나 절을 늦게 닫는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성격학습이론  (0) 2022.05.11
성격이론/프로이트  (0) 2022.05.11
분석적 심리치료  (0) 2022.05.10
발달 심리학/ 발달의 원리와 접근방법  (0) 2022.05.10
심리학/특이한 기억현상들  (0) 2022.05.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