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성격학습이론

by Eggmoneyna 2022. 5. 11.
반응형

개인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 내부가 아닌 외부의 환경에 있다고 보는 것이 성격 학습이론이다. 개인이 외부 자극인 경험을 통해 학습한 방식대로 자극에 반응, 행동하며 이러한 반응의 차이가 개인의 성격을 결정한다고 본다. 내부의 관찰할 수 없는 원초아, 자아, 무의식이 아닌 관찰 가능한 행동을 통해 성격을 좀 더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한다.

 

고전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는 생리학자인 파블로프가 개의 소화 과정을 연구하던 중 발견했다. 어떤 자극에 대해 처음에는 어떠한 반응도 일으키지 않던 개가 무조건 자극을 반복해서 제시하면 이후에는 조건 자극을 보였을 때에도 무조건 자극을 보였을 때와 같은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개는 먹이를 보면 침을 흘린다. 개에게 처음에는 어떠한 반응도 일으키지 않는 종소리를 (중립 자극) 들려주다가 종소리와 함께 먹이를(무조건 자극) 제시하는 행위를 반복하면, 나중에는 먹이를(무조건 자극) 주지 않더라도 종소리만(조건 자극) 듣고도 먹이를 봤을 때와 마찬가지를 침을 흘린다. 이렇게 만들어진 조건반응은 원래의 자극과 유사한 다른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을 보이는 자극의 일반화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극의 일반화 과정을 지나면 점점 무조건 자극과 함께 제시되었던 조건 자극에 대해서만 반응을 보이는 변별 과정이 생긴다. 조건반응이 성립한 후에 처음에는 먹이가(무조건 자극) 없이 종소리만(조건 자극) 들어도 반응을 보이지만, 이러한 행위를 반복하면 점차 반응을 보이는 빈도가 감소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소거라고 한다.

파블로프의 이론을 성격 형성에 적용시킨 사람이 왓슨이다. 왓슨은 파블로프가 개를 통하여 증명해 보인 것을 아동에게 적용시켜 실험하였다. 아동에게 흰쥐를 보여 주면서 쇠막대 두드리는 소리를 내었고, 처음에는 흰쥐에 공포를 느끼지 않던 아이는 이러한 반응이 계속된 후 흰쥐만 보아도 회피하면서 공포 반응을 나타냈다. 왓슨을 비롯한 고전적 학습 이론가들은 인간의 복잡한 행동이나 불안이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 발달되었다고 말한다.

 

조작적 조건화

선행자극에 대해 나타나는 반응과의 관계를 중요시하는 게 고전적 조건화라면, 조작적 조건화는 행동의 결과 뒤에 오는 반응의 관계를 중요시한다. 인간이 공부를 하는 이유도 시험을 잘 쳐서 공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을 잘 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하는 것처럼 어떤 행동에 대하여 오는 반응이 개인의 이후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반응을 강화라고 한다. 개인이 특정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할 것이냐는 과거에 현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황에서 선택했던 행동들 중 어떤 행동이 강화를 받았는가에 영향을 받는다. 과거에 강화받았던 행동들이 반복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많다.

정적 강화는 긍정적인 보상을 통하여 그 행동을 강화해 주는 것이고 부적 강화는 불쾌한 자극을 제거시켜 주어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숙제를 잘해 온 학생에게 사탕을 주거나 칭찬을 해주었다면 정적 강화이고, 청소 당번에서 제외해주었다면 부적 강화이다. 강화는 처음에는 사탕이나 용돈과 같은 1차 강화가 큰 영향을 주지만, 성장하면서 사회성이 형성되면 인정이나 칭찬 같은 2차 강화가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작적 조건화는 점진적 접근법을 통해 간단한 행동이 아닌 복잡한 행동도 강화를 통해서 형성할 수 있다고 본다. 처음에는 매우 간단하고 쉬운 행동을 강화하여 반복하다가 조금씩 복잡하고 어려운 행동으로 강화해주어 복잡하고 어려운 행동도 형성시킨다. 예를 들어 수영을 배울 때 물에 뜨는 것부터 하지 않고 다리 동작과 팔 동작, 호흡법 등을 배우고 나서야 물에 떠서 각 동작을 함께 하는 것을 배우는 것과 같다. 성격도 이와 같이 형성된다고 본다. 만약 어떤 아이가 실수로 꽃병을 깨뜨렸을 때 아이는 실수를 만회하고 엄마의 화를 풀어주기 위해 애교를 하였고 엄마가 화를 풀게 되었다. 이후에 아이는 자신이 잘못하거나 어머니가 화날 때마다 애교로 어머니의 화를 푸려고 할 것이다. 엄마의 화가 풀리는 것, 아이를 보면서 엄마가 웃는 것을 통해 강화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런 반복된 경험을 통해 아이는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이 강한 아이보다는 자신의 실수를 애교로 그 순간만을 모면하려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을 증가시키는 개념이 강화라면 반대의 개념으로 소거나 처벌이 있다. 소거는 없애는 것이다. 자신의 실수를 애교로 만회하려던 아이가 자라서 직장인이 되었는데 회사에서 실수를 한 후에도 상사에게 엄마에게 했던 애교를 한다고 하면 엄마와는 다른 반응을 경험하게 되어 자신의 방법이 잘못되었음을 알고 다음부터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처벌은 원하지 않는 자극을 주어서 그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원하지 않는 자극을 주어서 행동을 없애는 것이라 부정적 자극을 없애서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돕는 부적 강화와는 차별된다.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은 창시자 반두라는 인간의 행동이 단순한 자극과 반응의 관계에서만 일어나는 기계적인 관계가 아니며 고전적 조건화나 조작적 조건화에서 인간의 독특한 특성인 인지과정이 간과되었다고 보았다. 인간의 행하는 모든 행동이 직접 해 보거나 강화를 받아서 하기에는 종류가 너무 다양하고, 개인이 직접 경험을 하고 강화를 받는 행동뿐 아니라 다른 이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을 통해서도 행동의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타인의 행동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습득하거나 강화받는 것을 관찰학습 또는 모델링이라고 한다. 직접 관찰한 것이 아니라 텔레비전이나 책,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새로운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 

개인이 처한 환경에서 스스로 환경을 극복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를 자기 효능감이라고 한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행동을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일에 영향을 준다. 특정한 행동을 했을 때 보상이 오는지, 처벌이 오는지에 대한 심념이나 기대가 행동의 빈도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학습 이론가들은 개인의 행동뿐 아니라 성격까지도 모방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그문트 프로이트 Sigmund Freud  (0) 2022.05.14
심리학/이상행동  (0) 2022.05.12
성격이론/프로이트  (0) 2022.05.11
언어심리학/언어 처리과정  (0) 2022.05.10
분석적 심리치료  (0) 2022.05.1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