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심리학

by Eggmoneyna 2022. 5. 17.
반응형

사회심리학의 정의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면서 타인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상호작용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사회심리학은 이러한 대인관계 장면 속에서의 사람들의 행동과 심리 과정을 연구한다.

사회심리학은 대인관계에서 개인의 행동 경향성에 대한 보편적 원리를 찾아내려는 연구가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이론 심리학의 한 분야로 분류되고 사회심리학 연구에서 나온 지식들은 산업심리학, 조직심리학, 임상심리학, 상담심리학 등 여러 응용심리학 분야에 기초지식을 제공해 왔다.

사회 장면이란 사회 자극들로 구성된 상황을 말하는데 사회 자극이란 타인 또는 타인의 존재를 연상하게 만드는 자극을 말한다. 사회심리학은 사회 장면에서의 인간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으로 정의될 수 있다. 

사회라는 용어 때문에 사회심리학이 사회나 집단을 분석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는데 심리학에서는 그 분야가 발달심리학이든지 조직심리학이든지 사회심리학이든, 모두 상관없이 분석의 단위는 항상 개인이다. 사회 장면에서 개인의 행동과 심리과정을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 일상생활은 수많은 종류의 사회행동들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하고, 옷 입고, 줄 서서 버스 기다리고, 직장 가서 함께 일하고, 영화 보며 울고 웃는 모든 것들이 사회행동들이다. 그런데 세수를 하고 옷 입는 개인적인 행동이 어떻게 사회행동이라는 걸까? 이런 행동들은 남을 의식한 행동이므로 사회행동이 된다. 이러한 모든 행동들이 사회심리학의 연구대상이 될 수 있지만 그중에서 특히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두는 행동이나 사건을 연구하거나 인간생활의 복지 증진에 중요하게 관련되었다고 생각하는 사회행동들로 연구주제를 삼았다. 

첫째로 사회 지각의 문제로 사람들이 사회 자극에서 정보를 획득하고 처리하는 방식이 어떠한가의 문제이다.

둘째는 사회적 관계의 문제로 타인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는 과정, 타인에게 도움을 주는 이유, 타인에게 적대적인 행동을 하게 되는 원인 등의 문제이다.

셋째는 사회영향의 문제로 사람이 타인에게서 영향을 받아 행동이나 생각이 바뀌게 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넷째는 집단 역동의 문제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각 구성원의 행동이나 집단의 결정, 성과 등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말한다.

 

사회심리학 요약

사람들은 비교적 제한된 정보에 기초하여 타인의 성향에 대한 전반적인 인상을 즉각적으로 만들어진다. 한번 형성된 인상은 일관성이 유지되는 경향이 강하다. 인상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통합된 방향으로 정보를 처리한다. 이런 정보처리를 통하여 통합된 인상이 형성되기도 하지만 왜곡된 인상이 형성될 수 도 있다.

귀인 과정은 타인의 행동이나 타인에게 일어난 사건에 대하여 원인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서 시작된다. 행위자와 상황의 두가지로 원인이 돌아가는 귀착점을 나눈다. 사람들의 귀인과정은 비교적 논리적이나 체계성이 부족하고 감정적 요인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귀인 오류를 발생시킨다.

인상형성이나 귀인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인상은 비교적 고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어떤 대상에 대하여 형성된 태도는 그 대상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을 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고정불변의 것은 아니므로 태도가 변화될 수 있는데 태도변화의 방법으로 설득이 일반적으로 활용된다. 다른 방법으로 태도 대상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변화시키거나 태도와 관련된 행동을 바라는 방향으로 유도함으로 변화된 행동에 맞춰 태도가 변하도록 만드는 것이 있다.

타인에 대해 호감을 갖게 되는 조건은 물리적 근접, 태도나 가치의 유사 정도, 외모 능력 등이 있다. 호감으로 시작된 관계가 지속적 교제로 발전되는 것은 사회적 침투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사귐의 지속 여부에 대해서는 사회 교환 이론이 적절한 예측의 틀을 제공해준다.

도움이 요구되는 위급상황에서 주변에 사람들이 많이 있을수록 오히려 도움 행동이 더 적게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누군가가 도울 것이라는 생각, 책임감 분산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평소 서로 돕는 행동은 주로 응보 규범, 사회적 책임 규범 등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폭력적 행동의 원천이 되는 폭력 충동은 원하는 목표의 달성이 안되었을 때 생기는 좌절감과 타인이 괴롭힘이나 불편한 환경에서 느끼는 짜증 등에 주로 기인한다. 폭력 충동이 어떤 방식으로 표출되는가는 과거의 학습경험으로 결정된다.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기본적인 사회영향 과정으로 부탁에 의한 응종, 권위에 대한 복종 등이 있다. 집단 속에 있어서 집단의 무언의 압력에 굴복하여 자신의 의사와 반대되는 행동을 하게 되는 동조 행동도 사회영향 중 하나의 과정이다. 다른 사람과 함께 같은 일을 하거나 누가 옆에서 지켜보고 있으면 긴장도가 증가되어 일의 능률이 증진 또는 저하된다. 과제가 간단하고 익숙한 것일 때는 타인의 존재가 일의 능률을 더 향상하는 사회적 촉진이 일어나고, 복잡하고 생소할 경우에 더 저하되는 사회적 억제가 일어난다. 이런 현상들과 유사한 작업 동기와 관련된 현상으로 집단 속에 파묻혀 일하면 개별적으로 할 때보다 동기가 낮아져 꾀를 부리는 사회적 태만이 있으며 대책은 개개인의 작업 수행의 결과를 평가하도록 상황을 만드는 것이다. 

집단으로 모여 토의나 의사를 결정하는 주된 이유는 집단토의가 집단 구성원 간의 의견 차이를 좁히고 보다 온건한 방안을 선택하게 만들어 보다 나은 방안을 도출하게 만들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에 의하면 집단토론 후에 각 개인의 태도는 토론 전보다 자신의 기존 입장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며, 집단적 결정이 개인적 결정보다 더 극단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집단의 응집성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 유능한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집단이 예상외로 졸렬한 방안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구적 조건형성  (0) 2022.05.19
소비자 정보처리과정  (0) 2022.05.17
성격심리학/육아방식과 성격형성  (0) 2022.05.16
스트레스  (0) 2022.05.15
이상행동 심리치료  (0) 2022.05.15

댓글